아르가닐 세라믹 리뉴얼 프로젝트는 기존 건축공간, 건축양식을 계승한다. 이전 공간, 건축에 대한 존중은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전 공간을 담는 건축의 외피,외형은 유지한채 내부에 새로운 구조체를 보강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는 것과 새로이 증축하는 건축공간이 그 건축양식을 기존건축의 형태적 양식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모던디자인으로 구현하는 것이 그것이다. 외부 연속적인 수직부재의 디자인 패턴은 이러한 건축경향을 적나라하게 구현하며 새로운 캐릭터를 창출하는데 이것은 기존과 신규의 묘한 대비와 긴장감 속에 건축공간을 풍부하게 만드는 무엇을 창출한다. 추가적으로 증축되는 공간에는 직원들의 복지를 위한 수영장, 헬스장, 휴게공간 등이 계획된다. 리노베이션의 주된 관점은 기존을 존중하는데서 시작하..
심천에 위치한 에센스 화이낸셜 빌딩은 크게 두가지 측면에서 오피스 빌딩의 새로운 타입폴로지를 제안한다. 첫번째는 변화하는 비즈니스환경에 대응 가능한 오피스 환경 구축이며, 또다른 하나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건축환경 구축이다. 오피스 내 사무원들의 데스크를 기본 유닛으로 배치되는 오피스랜드스케이프는 각각 데스크에 물리적인 균등함을 원칙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오피스 환경은 빌딩에 코어존을 센터에 위치시킴으로써 개별적인 데스크 유닛의 변화를 만족시켜 왔다. 하지만 변화하는 비즈니스환경은 고정적인 데스크가 아닌 더욱 더 소형화 되고 가변적이며 움직임이 가능한 작업환경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에센스 파이낸셜 빌딩은 코어존을 건축물의 한쪽 사이드로 위치시킴으로써 내부에 플렉시블하며 오픈된 거대한..
케이피에프에 의해 새롭게 리뉴얼 된 센트라 오피스 빌딩은 인상적인 시퀀스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비쥬얼적인 효과는 4층에서 수평으로 확장된 사각 볼륨과 이것을 지지하는 트러스 스트럭쳐 및 비대칭 트리기둥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4층에 오픈된 스퀘어 홀은 그라운드 레벨에 위치한 주출입구와 공용홀까지 외부 빛을 유입시킴으로써 전체 건축물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는데 도움을 준다. 이전 건축물의 형태를 가늠 할 수없을 정도로 파격적인 변신을 통해 건축물은 새롭게 태어난다. reviewed by SJ KPF design for the renovation of the five-story, 110,000-square-foot (10,000-square-meter) Centra office building..
로컬광고 회사를 위한 새로운 헤드쿼터는 오피스 환경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디자인 된다. 새로운 오피스 환경의 구축은 워크스페이스 내 원활한 상호작용을 베이스로 구축되며, 작업환경내 팀원 간에 협동작업, 브레이밍 스토밍, 리서치 및 바뀐 인터네셔널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를 지원하게 된다. 작업을 위한 전형적인 공간이 아닌 복도 및 커피포트 주변에서 오히려 우리의 커뮤니티는 자연스럽고 활발한 형태로 발생되며 이러한 열린 공간 열린 문화의 재구성이 이번 오피스 리노베이션의 핵심이 된다. 기존의 열린문화의 재구성은 핵심코어를 기존 115,000스퀘어 미터 공간안에 삽입하는 것에서 시작하며 다음과 같은 기본원칙을 준수하게 된다. 1.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지원 및 집중 할 수 있는 작업환경..
이탈리아 남부 코르타에 인접한 작은 마을 바리에는 세계적인 곡물 유통회사 카실로 그룹의 헤드쿼터가 위치합니다. 우리 식탁에 오르는 다양한 형태의 파스타를 수입 유통 합니다. 이 헤드쿼터를 설계한 디자인 스튜디오 키리모토+파트너스의 디자인 목표는 사각 프레임 안에 주변 자연환경을 삽입하여 지속성장 가능한 오피스 환경을 구축하는데 있습니다. 큐빅 곳 곳에 투명한 오픈스페이스 형태로 담겨진 자연들은 거주하는 직원들의 휴식공간 및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됩니다. 이러한 공간구축은 기능적인 오피스 환경 속에 오아시스와 같이 그라운드 레벨에 위치한 투명한 글래스로 열린 거대한 컨퍼런스 홀로 건축물 센터에 위치한 하늘로 열린 오픈 중정 공간으로 표현됩니다. 여기에 화이트 볼륨 속 오렌지 컬러는 공간의 다양성을 암시하는..
엠브이알디브이 그들의 꿈을 다시 한번 만나 봅니다. 독특한 볼륨구성은 심미적인 비쥬얼 효과를 통한 랜드마크를 만들기 위함이 아닙니다. 이것은 내부 프로그램에 대처하는 합리적이며 유연한 건축 디자인 방법에서 시작합니다. 6미터 바이 6미터의 유닛은 전체 볼륨을 구성하는 하나의 픽셀로 내부 프로그램과 어반 컨텍스트와의 관계속에서 조닝되며, 노르웨이 오슬로 워터프론트에 위치한 디엔비 뱅크 헤드쿼터를 정의하는 중요한 수단이 됩니다. 특히 이러한 관계성의 첫번째 원칙은 내외부 공간의 최적거주환경을 목표로 하며 다음과 같은 내부 공간으로 구성됩니다. 통합 관리되는 2000여개의 워크 스페이스, 파노라마 구내식당, 250개의 스테이션이 준비된 거래소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아웃도어 스페이스. 여기 디앤비 뱅크 헤드쿼터..
마를린 몬로의 부활? 지역 주민들 사이에 마를린 몬로라는 애칭으로 불리우는 앱솔루트 타워는 기존 식상한 사각큐브의 마천루와 대비되는 유니크함을 자아냅니다. 생활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자연적인 선의 유동적인 흐름을 표현하는 타워의 형태는 도시의 열정과 에너지가 모여서 투영되는 장소로써 도심 속 커다란 노드점이 됩니다. 여기에 이러한 오가닉한 형태는 층마다 연속적인 발코니를 형성하며 와이드한 개별적인 뷰포인트와 소그룹 커뮤니티 공간을, 저층부에서 상층부로 올라가는 수직 형태 흐름에서는 율동적인 리드믹컬함을 휴먼스케일에서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곳을 랜드마크라고 부릅니다. reviewed by SJ Throughout the process of urbanization, skyscrapers have ..
아이비씨 이노베이션 팩토리 프로젝트는 1978년 부터 페인트를 생산해 오던 고리 팩토리를 현대적인 공간과 감각에 맞도록 재구성 및 리뉴얼하는 프로젝트로써 동시대 새로운 기준이 될 공장의 표본을 제시합니다. 연면적 1만 2천 8백 스퀘어 미터에 달하는 공장의 리뉴얼 디자인 목표는 오리지널 공장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며, 국제 협업 비즈니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열린 공간을 통한 크리에이티브 앤 러닝 스페이스 창출에 있습니다. 기존 건축물이 갖고 있는 공간적 퀄리티의 유지와 혁신적인 배움을 위한 장의 재구성은 건축가가 이곳 팩토리를 리뉴얼하는 가장 큰 숙제로써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합니다. 이것은 6개의 기본 요소를 통한 디자인으로 시작됩니다; 불, 물, 초록, 빛, 소리 그리고 공기. 이와같은 요소들은 거주..
공중으로 부유하는 듯한 파사드가 인상적인 콜센터의 디자인 컨셉은 과거와 미래의 공존을 통한 지속가능한 건축을 찾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향은 크게 저층부와 상층부의 두개의 요소로 명확히 구분되는 건축적 볼륨에서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지역적 특색을 나타내는 동시에 대지와의 관계성을 잘 드러내는 저층부는 멕시칸 전통 건축양식의 단편을 솔리드한 메스의 볼륨으로 이야기 합니다. 이와는 별개로 구분되는 상층부의 타원형태 메스는 가벼운 재료를 저층부와는 대비되는 테크놀로지 건축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상반되는 두가지 요소의 존립은 콜센터의 아이텐티를 정의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사용됩니다. reviewed by SJ First completed work by Estudio Lamela in México. It is..
Combiwerk Delft is a Social Workplace (SW) company and offers custom work to people who, due to a physical, psychological or mental limitation, are not able to find a regular job. Besides these limitations, the possibilities and talents are especially looked at. A lot has changed and the emphasis lately has been shifted more to re-integration into the regular work force. The job centre (career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