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스튜디오 '스마트 디자인 스튜디오'가 제안하는 리노베이션은 과거와 현재를 서로 병치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수평으로 연결된 20세기 테라스 하우스와 새롭게 구성되는 현대적인 공간의 레벨을 스킵으로 연결합니다. 그리고 이 상이한 공간 사이에 거대하며 우아한 돌음계단을 설치합니다. 이것은 공간의 시간차를 공간의 위계로 또다시 그 위계는 레벨로 구분짓습니다. 그렇게 거실공간과 개인적인 공간은 레벨로 구분되는 동시에 연결됩니다. -이러한 레벨의 위상차로 분리된 거실, 주방, 식당 그리고 생활공간: 마스터룸, 게스트 룸...은 이렇게 분리되며 내부 돌음계단으로 쉽게 연결됩니다.- 아마 이렇게 스킵형식으로 디자인 한것은 층수제한이 있어서 그런 것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드..
외피는 어떠한 기준으로 디자인 해야 하는가? 스페인 나바라에 위치한 병원내 바이오 연구센터의 파사드를 이루는 알루미늄 패널 디테일은 그것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한다. 저층부에 위치한 도서관과 중앙홀 그리고 그위로 적층된 연구실의 쾌적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강렬한 태양빛을 적절히 필터링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것은 외부스킨이 단순히 심미적인 아름다움의 산물이 아니라 내부구조가 만들어 내는 '흔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흔적은 건축물의 이미지를 남기고 그 건축물의 고유한 캐릭터로 고착화된다. 단순히 건축가의 흥미나 자의적인 해석 또는 심미적인 미의 만족을 위한 외피의 디자인은 건축을 하는 자라면 심히 삼가해야 하는 일일 것이다. reviewed by SJ An enveloping ..
국제적인 트랜드를 많이 닮아 있는 스타라이트 플레이스 쇼핑몰은 남들의 시선을 끄는 유니크한 형상과 전층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오픈 아트리움가 인상적인 프로젝트 입니다. 새롭게 발전하는 중국의 난징시의 몇 안되는 랜드마크 중 하나로 새로 오픈한 모노레일 라인에 위치하여 상업과 비즈니스의 허브 역활을 충실히 수행할 것입니다. 특히 수직으로 관통하는 에어 아트리움의 볼륨을 형성하는 각층의 복도의 부드러운 웨이브는 지역에 위치한 지리적인 특성을 모티베이션하여 부드러우면서도 역동적인 볼륨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공간의 깊이가 깊어져 실내부로 자연채광과 자연환기가 어려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최적의 내부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전에 다녀온 싱가폴의 중심상업시설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그렇고 매우 흡사합니다. ..
전혀 다른 두개의 타입폴로지가 부딪칩니다. 사각형의 공간을 덮고 있는 우드루버로 디자인된-환경성 검토를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통하여 검증합니다.우드루버의 개구율이나 다양벽체의 시리즈 중에 사용될 벽체의 선택 또한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통하여 진행합니다.- 외부디자인과 루지애나의 굽이쳐 흐르는 강물이 만들어 내는 분절된 지평선, 그리고 그로 인해 복잡하게 트위스트된 지형을 투영한 내부 디자인으로 구분됩니다. 이러한 내부의 유동치는 공간적 흐름은 때로는 커다란 아트리움을 때로는 내외부를 잇는 복도로 구획되면서 루이지애나 뮤지엄 스포츠홀의 디자인을 정의하게 됩니다. -글을 읽어 보면 BIM으로 설계 했다고 하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REVIT아니라, 빌딩정보를 갖고 있는 다른 디자인 툴을 사용한 것 같다. REVI..
브론즈는 시간과 짝을 이루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시간에 따라 산화하면서 자신의 나이를 먹어갑니다. 스웨덴 룬드지역에 새롭게 문을 연 포럼스페이스는 반짝이는 황금색 파사드로 인상적인 도시의 얼굴을 투영하는 동시에 기존 두개의 건축물 사이에서 새로운 공용 광장을 형성합니다. 도시를 투영하는 브론즈의 깊으며 매트한 컬러톤은 세월의 때와 짝을 이루며 저층부에는 현대적인 전시공간과 카페 그리고 오디토리옴으로, 그 상층부에는 오피스와 미팅룸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감싸 안습니다. 여기에 내부 노출콘크리트 월은 외부 브론즈의 반짝이는 물성과는 반대로 담담히 침묵과 평온함으로 공간을 구획합니다. 현대적인 건축물과 역사적인 도시공간구조 안에 균형감을 아루는 건축물은 도시를 투과하는 캔틸레버 스페이스에 뚫려진 커다란 윈도..
1960년대 알프스 산기슭에 세워진 홀리 크로스 성당은 빛과 심볼릭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조형미가 공간으로 투영됩니다. 중세시대의 건축적 조형미를 단순화한 극단적인 심볼릭은 로마카톨릭 교회의 엄숙함과 경건함을 시간을 거슬러 현재의 공간까지 인도합니다. 특히 성당 남서측에 위치한 폴리곤 타워는 성당의 상징적인 4가지의 종을 통합하는 구심점으로 공간과 종교를 통합합니다. -삼위일체 종, 크로스종, 평화의 종, 그리고 마린종, 사실 이 종들이 성당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더 알아봐야겠네요. 50년이라는 시간이 무색합니다. 지금도 콘크리트와 그것에 짝을 이루는 목재가구는 성당내부를 깊은 공간감으로 인도합니다. reviewed by SJ Standing at the foot of the Alps is the hi..
뉴욕의 동쪽 땅끝마을 몬탁은 그렇게 짙은 안개와 거센바람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예측할 수 없는 날씨와 기후와 드넓게 펼쳐진 목초지대위에 새롭게 새워진 하우스는 대지의 기억을 볼륨으로 형상화 합니다. 하우스 디자인의 시작은 자연과의 교감에서 시작합니다. 자연을 최소한으로 터치하는 디자인의 경계는 외부에 펼쳐진 우드 테라스에 외부에서 하우스로 접근하기 위한 가파른 슬로프에도 담겨 있습니다. 외부에서 바라본 하우스의 모습은 두개의 모던한 단층 볼륨으로 자리 잡은 남측모습과 중정으로 폴딩된 볼륨의 모습을 보이는 북측모습으로 확연히 구분됩니다. -여기 중정에서 바라본 삼나무 브릿지는 두개의 모던한 하우스를 통합 및 연결하는 중요한 구심점이자 하부에 위치한 중정으로 태양빛을 유입시키는 통로입니다. 밤과 낮의 다른 ..
도시와 바다를 연결합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남겨진 공간을 다시 사람에게 돌려줍니다. 바다와 접하는 지역적 특징은 이곳을 조선산업이 발전된 지역으로 활성화 시켰습니다. 하지만 여느 산업도시와 같이 산업화로 지친 도시의 피로도는 장소를 지치게 하고 공간을 힘들게 하며 사람들에게 휴식과 안식처를 찾아 떠나게 만듭니다.-도시의 피로도는 전세계적으로 경제구조가 변화하고 도시구조가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도시의 건강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여기에 유명한 여류건축가 자하하디드의 뮤지엄은 잃어버린 도시와 바다의 연결고리를 잇는 공간을 제안합니다. 마치 배의 최상단 돛을 닮아 있는 건축물의 파사드는 여러개의 봉우리가 이어지는 산맥과도 닮은 첨탑 형상을 띄고 있습니다. 이러한 루프웨이브는 도시의 누적된 피로도가 만들..
노르웨이 한적한 지방도로 그리고 자연을 벗삼아 자리 잡은 트럭검열소는 최소한의 터치로 국립공원의 조경에 대한 뷰포인트가 조각나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러한 소극적인 개입-여기서의 소극적인 개입은 주위자연환경과 어울리는 최소한의 범위에서 적극적인 개입을 이야기 합니다. 말이 어렵기는 하지만 안하는 것이 아니라 더 디테일하게 개입하여 안한듯 한듯 설정하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은 콘크리트 지붕을 덮고 있는 옥상녹화에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그리고 하부로 깊숙히 처진 듯한 지붕을 받치고 있는 기둥 또한 동측글래스 파사드 안으로 숨겨 최소한의 인위성을 배제시킵니다. -기둥을 내부로 숨긴 것이 아니라 파사드 안에 흡수시켜 버림으로써 마치 기둥이 없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킵니다.- 여기에 연속적인 랜드스케이프 뷰를..
이탈리아 밀란 외곽지대에 위치한 산 도나토에 새롭게 제안되는 이엔아이 헤드쿼터 컴플렉스는 자연을 생각하고 사람을 담습니다. 기존 직사각형의 공간이 아닌 링형태의 공간은 내부에 자연을 품은 그린스페이스, 오픈에어 중정을 형성하여 주간동안 직원들이 활동적으로 업무를 볼 수 있도록 외부환경을 내부로 필터링하여 유입시킵니다. 링 스페이스는 서로의 간섭을 피해 여러개의 동심원을 그리며 각 공간에 알맞는 위치에서 빛과 공기를 순환시킵니다. 이렇게 연속되는 동심원들-링 스페이스-은 새로이 발휘되는 교통의정서에 따라 저탄소 배출을 위한 에너지 순환시스템을 적용합니다.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에너지의 고효율과 패시브 디자인은 링스페이스가 구축되는 당위성을 자연스럽게 설명해줍니다. 어쩌면 우리에게 필요한 공간의 크기는 직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