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프로젝트. 일본 건축가 소유 후지모토가 제안하는 파빌리온은 정글짐 같은 백색 사각 프레임의 연속된 형태로 픽셀화된 구름 같아 보인다. 20mm 스틸폴을 이용, 400mm, 800mm 크기의 사각프레임으로 구축된 파빌리온은 다양한 방식의 소셜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으로 외부의 지형적 특징을 인터록킹 가능한 매트릭스 형태로 구조화 한다. 미학적인 형태미를 갖는 소셜 파빌리온은 그렇게 자리한다. reviewed by SJ The Serpentine Gallery Pavilion 2013 is designed by multi award-winning Japanese architect Sou Fujimoto. He is the thirteenth and, at 41, the you..
여기 디즈니 허브 바르셀로나 뮤지엄 프로젝트는 포털 디자인을 목표로 디자인과 예술 그리고 도시의 컨텐츠를 하나로 묶는 허브 스페이스를 전시, 연구, 교육 등의 다양한 공간을 통하여 창출, 표현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허브 스페이스는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광장 개발 계획으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생성된 저층부와 광장 상부로 아이텐티한 형상을 가진 14.5미터의 건축물로 구성된다. 광장으로 면한 저층부는 두개의 층에 갤러리와 메인 전시홀을 위치하며 DHUB의 컬렉션을 보존, 관리하는 관리실, 메인 오피스, 공용도서관, 다큐멘테이션 센터, 연구 및 교육실과 서비스 스페이스-바, 까페, 레스토랑, 스토어-로 계획된다. 상층부는 사선으로 기울어진 육각면체로 디자인 된다. 기존 고가도로를 트랩선로로 변경하는 ..
캐나다 미시소거, 토론토 대학에 새로운 헬스 사이언스 컴플렉스가 문을 연다. 미시소거, 토론토 대학의 의학분과와 생명공학 커뮤니케이션과 그리고 인류학과의 지원시설물로 제안되는 본 건물은 화상회의가 가능한 대강의실, 교실, 세미나실과 관리자 사무실 그리고 산업동과 연구동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3개의 그룹을 지원하는 각 공간들은 개별적이며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축되며, 각 공간의 특성, 프로그램에 따라 평면에서 축소, 확대되어 각기 다른 볼륨으로 적층된다. 각 공간은 외부 조망과 자연채광을 기본원칙으로 계획되며 외부정원의 조망과 야외활동을 지원하는 테라스를 적층된 볼륨의 차이에서 형성한다. 여기에 다양한 모듈패턴으로 디자인된 스테인레스 스틸 판넬은 외부자연환경을 투영하는 장치로 반사, 유입을 반복적으로 일으..
맨하튼 북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킴벨 스포츠센터는 지역 주민들의 생활체육 확대와 콜롬비아 대학의 외부 스포츠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복합 커뮤니티 시설로 제안된다. 미식축구, 축구, 야구를 위한 운동장의 프로그램이 투영된 센터의 디자인 컨셉은 대지의 경사면을 따라 연속적인 공간의 흐름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흐름속에서 프로그램의 구성은 밀고 당겨지며 건축물의 입면을 리드믹컬하며 다이나믹한 형태로 변형, 완성시킨다. 이와 같이 구축된 센터는 도심속에 또하나의 포탈로 자리 잡으며, 시티스케이프로 확장, 랜드마크화 된다. reviewed by SJ Located on the corner of West 218th Street and Broadway - the northernmost edge of Manhattan..
도로에 면하여 뒤틀린 월은 하우스 디자인을 정의하는 수단이자, 그라운드 레벨에 주차장과 주출입구를 구분하는 기준점이 된다. 현재 일반적인 건축물이 2차원 재료에 의해 일반화되고 정형화되는 것에 반하는 프로젝트의 디자인은 모던하며 일반적인 스틸을 이용, 2차원 위상을 비틀어 3차원으로 변형시킨다. 재료의 한계성, 건축환경의 한계성, 주변관계의 한계성 속에 허용가능한 최대로 공간을 비튼다. 하우스는 지상3층, 지하1층으로 구성된다. 지하층은 메인침실과 서비스공간 및 가든으로 구성되며, 1층은 리빙룸으로 도로로 열린 전면창을 설치, 2층은 주방과 식당공간, 그리고 3층은 게스트 룸과 테라스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것과 특이한 것의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 reviewed by SJ Japanese archi..
엘레베이터 B는 도심 양봉을 위한 꿀벌 거주공간으로 버팔로에 위치한 오피스 빌딩의 파사드 재료를 이용하여 구축된다.-도시꿀벌이라... 먼가 유쾌하다.- 폐기된 사일로 주변, 공터에 위치한 설치물은 꿀벌 기둥? 통하여 유쾌하며 호기심어린 감정을 유발시키는 촉매제로 어반보이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는 어반 소셜네트워크의 수단으로 제안된다. 22'의 높이와 스틸 스트럭쳐 그리고 펀칭된 스테인레스 스틸 판넬로 구성된다.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통하여 디자인된 스틸판넬의 펀칭패턴은 내부공간의 자연환기 및 자연채광을 위한 디자인 요소로 적절한 쉐이딩의 기능 또한 겸하도록 디자인 되며 설치물의 아이텐티를 정의한다. 그런데 그런데 과연 도심에서 꿀벌을 키울 수 있을까? reviewed by SJ Elevator B is..
도시 동맥을 연결한다. 2년의 공사기간, 약 90밀리언 유로의 예산 그리고 도시의 교통수단을 환승, 연결하는 교통의 허브. 이러한 설명은 최근 완공된 그라즈시에 복합환승센터 '골든 아이'를 일컫는 말이다. 중장기적인 도시개발 사업 중 하나인 환승센터는 기존 거대한 광장에 위치, 매력적인 유선형태의 캐노피와 라운드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승객들의 안전한 탑승 및 환승을 위한 플랫폼은 매력적인 캐노피 '골든 아이'로 덮이며 이곳 환승센터를 랜드마크화 하는 강렬한 디자인 요소로 작용한다. 장소, 환승센터의 성격상 많은 사람들의 유입을 허용하는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캐노피의 미려한 디자인은 매력적이다. reviewed by SJ After a construction period of 2 years and an in..
두개의 실린더 스트럭쳐 프레임, 무대부를 구획하는 콘크리트 박스. 두개의 실린더는 교차하며 무대부와 객석부를 형성, 650석 규모의 오디토리움을 생성한다. 심플한 건축계획은 아이텐티한 형상-두개의 실린더가 교차하는 단순한 외형. 하지만 사선으로 기울어져 접합, 연결됨에 따라 단순함 속에 다이나믹한 공간들을 발생시킨다.-을 구현하는 동시에 내부에 필수불가결하게 생성되어야 하는 무대부의 층고와 객석부의 층고를 해결한다. 여기에 채색된 컬러패턴은 이러한 다이나믹함을 배가시키는 생동감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 내부 실린더의 끝, 지붕에 멤브레인을 계획하여 영상을 투영하는 스크린으로 활용, 내부에 확장된 공간활용을 보여준다. reviewed by SJ Situated on the edge of Alençon, in..
블랙의 역동적인 형상으로 디자인된 페스티발홀은 이지역 여름축제를 위해 사용된-1950년대~1998- 패션 플레이하우스와 대조적인 시퀀스를 만들며, 새로운 축제의 장을 준비한다. 새로운 축제의 시작은 여름축제와 대조를 이루는 겨울축제의 중심으로 주변 암석, 지형을 형상화한 주변 랜드스케이프를 형상화한 모놀리틱 볼륨으로 디자인된다. 이것은 또한 두가지 변수, 내부 프로그램의 기능적 요구와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우를 통해 다듬어지고 완성되어 진다. 지역주민들의 문화 및 여가활동의 증진을 위해 만들어진 페스티발홀은 내부에 설치된 오케스트라 공연장 이외에 다목적실을 포함한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보장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reviewed by SJ Positioned ..
낡고 녹슨 양철판으로 지어진 집이라면 흔히 판자집을 연상시키는게 보편적 사실이다. 여기 호주에 지어진 단독주거는 이러한 시각을 비틀어 지역적 시간을 반영한 녹슨 양철판을 외장재로 사용, 아이텐티한 주거 디자인을 완성시킨다. 개인 사무실과 스튜디오를 겸하는 하우스는 원래 이곳에 위치한 낡은 양철 오두막의 분해된 잔해, 양철판으로 외관을 디자인 함으로써 장소의 연속성을 표현하는 동시에 여기 하우스만의 특별함을 담아 낸다. 그리고 2층에 설치된 대형창은 코르텐 스틸로 이루어져, 외관에 사용된 녹슨 양철판과 맥락을 같이 하는 동시에 거리와 마을로 열린 오픈 뷰를 확보하는 창구로 디자인 된다. 이번 주거프로젝트는 시간에 의해 변화하는 공간의 모습을 묵묵히 담아 냄으로써 건축이 대지와 어떻게 지속 될 것인가를 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