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에 대한 기억을 고스란히 연결한다. 그리고 새롭게 재구성된 시간을 역사라는 이름으로 장소에 새겨 이곳을 기억하는 뮤지엄으로 완성시킨다. 중국 황푸강에 위치한 롱 뮤지엄은 석탄운반을 위해 존재한 부둣가와 110미터에 달하는 다리의 흔적을 건축물에 투영, 현대공간 속에 적절한 아이콘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독특한 구조형식; '박공지붕'으로 명명한 자립식 캔틸레버 구조물을 기존 콘크리트 프레임의 규칙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내부공간 확보와 유연한 평면을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이를 통해 벽은 휘어지고 공간과 공간을 구분하며 관람자들의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는 매개체가 되며 1950년대 지어진 다리의 흔적과 함께 박물관의 위대한 건축요소로 자리매김 한다. 시공간을 그렇게 연결한다. reviewed by S..
월드클래스 데이케어센터(어린이 보육시설)를 지향한다. 역사적인 주변환경 투영과 어린이들의 무한한 상상력 자극 및 촉진을 위한 공간 창출은 끝임없이 연속되는 레드 커브의 형상 속에 펼쳐진다. 센터 내부와 외부를 구분짓는 휀스로, 어린이들의 야외활동을 지원하는 놀이공원과 정원 및 내부 공간을 구분 짓는 버티컬 파티션으로, 외부 직사광의 유입방지를 위한 필터로 레드 커브를 끝임없이 연속된다. 이번 데이케어센터를 위해 특별히 커스텀 제작된 버티컬 레드 브릭은 앞서 말한 다양한 기능 수행 및 공간에 캐릭터를 부여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1층~3층으로 구성된 총 5개의 하우스와 어린이들의 야외활동을 보장하는 놀이터 및 정원으로 구성된다. 0세부터 6세까지, 총 160명의 어린이가 수용 가능하다.- revi..
스쿨 프로젝트는 넓고 통풍이 잘되는 아카데미 클래스, 액티비티룸 그리고 연구실을 포함한 내부 커리큐럼과 외부 활동적인 커리큐럼을 포함하는 교육 공간을 신설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공간구성을 위한 디자인 방향은 건축물의 장축을 남향과 직각으로 배치하며 공간을 학급별 단계별 구분짓는 볼드함과 플레이풀한 요소로 진행된다. 여기에 기능을 위한 전용공간은 사각볼륨으로 공용과 서비스를 담당하는 공용공간은 유선형으로 분리, 디자인 함으로써 기능적 분리와 건축디자인의 아이텐티를 추구한다. 스쿨의 창의적인 아이텐티를 보여주는 벽면 모자이크 패턴 디자인은 '모자이크 벽화', '스크랩 아크', '퍼즐 파사드' 라는 다양한 닉네임으로 불리우며 학생들의 창의력 증진에 단초가 되는 오브제로 제안된다. reviewed by SJ ..
폴란드 슈체친 중심부에 위치한 새로운 필하모닉 하우스의 장중한 외형은 주변환경의 투영과 이와 차별화되는 장소성 확보를 위해 디자인된다. -주변에 위치한 산업단지의 영향 및 박공지붕가 주를 이루는 선형 건물들의 영향- 여기에 균질한 반투명 글래스 질감은 이러한 건축환경을 극대화하며 도시 지역문화를 대표하는 상징물로 자리하게 한다. 내부 구성은 크게 두개의 콘서트홀과 대형 로비 기타 부대시설로 이루어 진다. 951석의 심볼릭 홀과 195석의 챔버홀; 두개의 메인 공간은 건축적 음향과 빛의 조절 등 최상의 음악공간 구현을 위해 콘크리트로 구축된다. 그리고 필하모닉 하우스를 특별하게 만드는 아이콘 더블 스킨 시스템은 고유한 빌딩 이미지 창출뿐만 아니라 외부 자연광의 확산을 통한 조도 확보 및 더블스킨의 공기층으..
수영장의 인상적인 외형을 만드는 연속된 박공지붕은 내부 풀장의 아름다운 공간감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영장에서 발생하는 잔향을 방지,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한다. 박공지붕과 저층부 사이에 위치한 수평창은 디자인 어휘를 분리하는 역활과 내부의 드라마틱한 차경을 만든다. The scheme consolidates the existing and new sports facilities into a fully integrated sports department defined by one singular block containing gym, changing facilities, fitness suite, admin offices and swimming pool. A new changing facility is con..
Architects: Promontorio Architecture Location: Mora, Alentejo, Portugal Project Team: Joao Perloiro, Joao Luis Ferreira, Paulo Perloiro, Paulo Martins Barata, Pedro Appleton Collaborators: J. Cancela, A. Braga, R. Correia, S. Reis, R. Henriques Client: Municipalidad de Mora Contractor: Teixeira Duarte, SA Site Area: 17 Ha Constructed Area: 3.000 sqm Construction year: 2004-2006 Budget: US $3,000..
AUX Architecture clads Los Angeles arts centre in polycarbonate panels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된 로스앤젤레스 아트센터는 캘리포니아 디자인 스튜디오AUX Architecture가 비영리단체 Glorya Kaufman를 위해 리노베이션한 프로젝트입니다. 기존 벽돌건물은 지역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치료교육과 무용, 음악 및 연극제작을 위해 사용됩니다. California studio AUX Architecture has converted and expanded a synagogue on LA's Westside to create the Glorya Kaufman Performing Arts Center for a nonprofit focused on c..
Grupo Edisur-San Ignacio Community Center 벽돌이 전달하는 이미지는 개방형 커뮤티니 공간의 지향점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서로의 소통을 지원하는 동시에 개별적인 활동을 보장하는 이중적인 성격을 의미한다. 붉은색 벽돌, 그 벽돌의 사이사이에 비워진 공간은 사막기후에 대응하는 환기통로 역활을 수행한다. Urban Role within the Intervention Sector. Site / Situation. The building is located in a new development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of Cordoba, Argentina. This peripheral sector was, long ago, the center of ind..
UNStudio-Echo Energy-Generating Interfaculty Teaching Building 지속가능한 건축물을 완성하기 위한 유엔스튜디오의 에코프로젝트가 제안된다. TU Delft의 지속가능한 건물인 에코는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캠퍼스구축을 위한 첫걸음으로 시작된다. 사람과 지구를 위한 건강한 캠퍼스 건물은 1200개의 태양광 패널과 스마트 전자기기 설치, 우수한 단열성능 확보와 효율적인 냉난방 시스템을 통해 완성된다. 건물 내부에 설치된 가구의 90%는 재사용 가구를 적용했다. Echo is an energy generating interfaculty building that offers a wide variety of teaching rooms to cater to the d..
Architect: Giancarlo Mazzanti Collaborators: Andres Sarmiento, Juan Manuel Gil, Freddy Pantoja, Camilo Mora, Pedro Saa, Alejandro Pina, Ivan Ucros, Gustavo Vasquez Location: Santo Domingo, Colombia Project Year: 2005 Construction Year: 2007 Constructed Area: 5500 sqm Concrete Structure: Sergio Tobon Steel Structure: Alberto Ashner Photographs: Sergio Gomez Background and needs The Project is loc..
Atelier EGR-Biot Municipal Building Extension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징검다리. 광장의 끄트머리에 위치한 예배당을 맞이하는 새로운 파빌리온 작업입니다. 클래식한 건축언어를 현대적인 모던함으로 재구성한 디자인은 석재를 이용, 간결하면서도 장중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연속된 파티오가 전달하는 무게감은 이곳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시간의 영속성을 일깨우게 도와줍니다. *돌을 쌓아 만든 작은 예배당 [ messina | rivas ] The Chapel Ingá-Mirim 쌍파울로에서 80km 떨어진 이투페바시에 위치한 작은 예배당. 오래된 기존 건물을 허물고, 새롭게 재구축한다. 기존 구조물의 기초를 이용하여 돌로 쌓은 3개의 벽으로 구성된 공간은 오래된 도 5osa.com ..
maumstudio-Dorr Kids Playground 남양주, 호평체육문화센터에 위치한 도르르는 어린이들이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놀이문화 체험 공간이다. 이름에서 말해주는 것과 같이 놀이공간에는 정해진 답도 없고, 규칙도 없이 동글동글 이어지는 플레이 공간이 제공한다. It was designed over two years and has a total floor area of 100㎡. At the request of Namyangju City, it was built with a dedicated area of 89㎡ and three stories above the ground to commemorate Jeong Yak-yong, who built Suwon Hwaseong Fortr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