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ed as part of a large-scale print advertising campaign for MTV europe, 'download bar' exhibits a typical online download bar, composed entirely of figures of music supporters and musicians. the project was developed by german designer patrick ackmann with advertising agency oglivy & mather, under the creative direction of stephan vogel , matthias storath, helmut meyer. the scenario showcase..
A neglected cut-through in King’s Cross was transformed into an inviting picnic garden this weekend, in response to a brief set by the London Festival of Architecture to transform a forgotten corner of King’s Cross into a space for people to enjoy. The large scale installation, titled The King’s Cross Picnic, was designed by local architects Squire and Partners in collaboration with landscape de..
절대 깨어지지 않을 것만 같은 벙커를 슬라이스하여 오픈한 형상이 드라마틱하면서도 장중함을 줍니다. 네덜란드 뉴 워터라인 프로젝트의 일환중 하나인 벙커599는 과거의 역사와 현재의 공간을 시간으로 다시 엮어 새로운 퍼블릭 스페이스로 창출합니다. 이 워터라인은 과거에 적으로 부터 침공을 막기 위한 방어선으로 지금의 벙커는 1815년 부터 1940년대까지 근현대사 전쟁에 전략적 방어선으로 활용되었습니다. 오히려 지금은 이러한 경계라인을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인공구조물과 자연이 커다란 랜드스케이프 라인으로 형성됩니다. 과거에는 이 경계라인이 인간과의 전쟁을 위한 장치였다면, 지금은 홍수에 의한 물의 범람을 관리 감독하는 치수관재의 성격을 띄고 있는 장치로 활용됩니다. 그중에서도 벙커599는 이전의 역사적 장소..
어린이들이 상상하는 것처럼 세상이 레고로 이루어 진다면 얼마나 재미있을까요? 독일 부퍼탈시, 도시 재생프로젝트의 일환 중 하나인 레고브릿지는 회색으로 일관된 도시의 무거운 톤에 하일라이트를 줌으로써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습니다. 이러한 도시재생 프로젝트는 기존 거주민들에게는 생기넘치는 이미지를 통한 어반라이프의 즐거움을, 이곳을 찾는 외부인들에게는 커다란 어반 퍼블릭 아트 스페이스로 전달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인구감소 침체된 도시경제를 살리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또 다른 곳에는 무엇이 설치되었을까요? 궁금해 집니다. reviewed by SJ As children love to imagine, what if we actually built our cities out of Legos? A bridge i..
태국의 아름다운 하늘이 당신에게 선물합니다. 바다에 면하고 있는 대지는 오히려 빌딩에 둘러쌓여 뷰포인트를 형성하고 있지 못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대지상황을 새롭게 해석한 건축가의 디자인방향은 대지-잔디-와 하늘입니다. 건축주의 요청에 부합되는 레스토랑의 이미지 구축과 고객들의 프라이버시 확보는 새로운 유닛개념의 설계로 부터 시작됩니다. 작은 셀단위의 유닛은 각각 지상으로 부터 들려진 사각박스 안에 하늘로 열린 뷰와 지면으로 부터 열린 2가지 뷰만을 허락하며 개별적이며 플렉시블한 다양한 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특히 이러한 구축방법은 대지를 플렉시블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인 동시에 프라빗 레스토랑의 컨셉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reviewed by SJ Designed by Thailand ba..
드라마틱한 인공연못이 조성됩니다. 이전에 세컨더리 스쿨과 세미나 개최를 위해 이용되었던 건축물을 새롭게 럭셔리 아파트먼트로 리뉴얼하는 프로젝트 중 하나 입니다. 풍부한 자연환경으로 둘러 쌓인 아파트먼트의 주출입구에 위치한 인공연못과 지하주차장은 천혜의 자연환경의 공간적 흐름을 연결하는 랜드스케이프의 개념으로 지상에는 인공연못을 지하에는 주차장을 계획합니다. 표면적 730제곱미터 크기에 60센티미터의 깊이로 설치된 연못의 테두리는 립타입의 코르텐강으로 디자인되어 자연적 모던함을 추구하는 한편 오른쪽에 위치한 오픈 스페이스를 통하여 지하 내부로 다량의 빛을 유입시킵니다. 그리고 천창에 설치되어 있는 글래스 판넬에는 다양한 아트웍이 프린팅 되어 주간에는 지하로 빛의 유입을 야간에는 내부에서 발산하는 빛에 투과..
오늘 프로젝트는 소마디자인이 설계한 살즈버그 아카데미 센터의 주출입구 진입로와 포이어공간입니다. 기존 공장홀과 연계되도록 설계된 전실은 각 주요공간으로 공용공간으로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 및 변형됩니다. -프리젠테이션, 영화상영, 콘서트 또는 리허설 등 다양한 문화활동 및 공용공간으로 활용됩니다.- 특히 포이어 공간을 새롭게 정의하는 디자인은 바닥으로 부터 솟아 올라 지붕의 구조체를 이루는 유기적인 볼륨으로 마치 커다란 나무를 형상화 한 듯 보입니다. 기하학적인 패턴의 프레임은 3차원 공간 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디자인되며 실제 현실세계의 볼륨으로 구체화 됩니다. 공간을 구성하는 점, 선, 면 을 가지고 볼륨의 크기를 결정하는 밀도와 점도 그리고 표면장력의 수치적 공식으로 다음과 같은 볼륨 값을 얻어..
3개의 층으로 구성된 모바일 하우스는 심플한 프레임구조로 계획되어 재활용된 운반용 컨테이너를 이용, 저층부에는 작업 스튜디오 그리고 상층부에는 주거공간을 계획한 프로젝트 입니다. 이와같은 모바일 하우스는 현재 도시속에서 발생하는 지역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법론으로 제안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의 도시는 인구의 감소로 인한 도시공간의 보이드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것은 현재의 건축이 대지와 고착화되어 발생하는 필수불가결한 상황으로 현재의 가변성을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이에 이번 모바일 프로젝트는 공간이 필요로 하는 거주자 및 사용자에게 빠른 시간내에 템퍼러리 구조시스템을 적용한 유닛을 제공하여 이러한 딜레마를 해소하고자 하는 대안으로 계획되었습니다...
다목적으로 활용가능한 프로토타입 유닛을 소개합니다. 모바일 유닛의 가장 큰 장점은 지속가능한 에너지 자급 자족 시스템으로 다양한 공간에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운반용 컨테이너를 재활용한 유닛은 상부에 설치된 캐노피-20여개의 태양전지판을 부착하여 에너지를 생산합니다.-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플렉시블하게 사용가능합니다. 그것의 활용은 응급복구를 위해 설치하는 응급센터나 응급구조 사무실 또는 주차관리 스테이션 등의 다양한 모바일 오피스 및 하우스로 활용 할 수 있습니다. reviewed by SJ houston-based practice metalab in collaboration with the university of houston has designed and begun manufactur..
한번쯤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보고 싶습니다. 자전거를 타는 바이크족과 보행자를 위한 유니크한 다리는 서포트재와 교각없이 자유로운 곡선형태로 지면과 지면을 연결합니다. 두개의 점을 잇는 가장 빠른 선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라는 거 혹시 알고 계셨나요? -자세한 수학의 법칙은 ebs 다큐프라임 '문명과 수학' 4편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이러한 곡선은 두개의 점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실질적인 공간의 연결을 넘어서 주변 뷰포인트를 다리로 유입시킴으로써 공간을 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아마도 다리를 디자인하기 위한 4가지 명제-가격, 마음의 위로, 사회안전, 공간의 완성-를 합리적으로 완성시킨 건축가의 대담함과 합리성이 조화롭게 풀린 좋은 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부분은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