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문명을 대표하는 중국의 문화 중 차문화는 그 세월만큼이나 유고하며 깊이 있는 맛으로 그 가치를 예술로써 인정 받는 문화를 형성하였습니다. 이러한 무형의 문화 컨텐츠와 유형의 건축이 만나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는 티하우스는 과거의 시간과 현재의 공간을 한자리에 버무리는 독특한 공간을 만듭니다. 특히 양저우 지방의 전통적인 중정기법을 현재의 공간 속에 녹아 내는 건축은 호수에 부유하는 새로운 형태의 큐빅 볼륨들을 만들어 내는데, 주로 밖보다는 안을 중시하는 전통기법을 따라 다양한 작은 중정을 만들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공간구축을 현실화 하고 구축하는 재료가 우리 주변에 쉽게 볼 수 있는 대나무를 이용한다는 점입니다. 적절한 탄성과 강성을 가진 대나무는 전체 티하우스를 세로형태로 가로형태로 ..
팝업 카페는 올림픽기간동안 템퍼러리로 운영되는 커뮤니티 스페이스 입니다. 16일 동안 운영되는 카페와 퍼블릭 스페이스는 도시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할동과 이벤트, 공연을 지원함으로써 도시속에 흩어진 어반컨텐츠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구심점이 됩니다. 임시로 운영되는 것이 아쉽기는 하지만 상당히 재미있는 장소가 될 것 같습니다. reviewed by SJ We like the fresh, unpretentious and happy look of the temporary Movement Café and performance space built next to the DLR station in Greenwich, South East London. It was constructed in 16 days to be ..
스트로 갤러리의 경험은 바쁜 도시생활과 대조되는 느림에 대한 경험입니다. 볏짚으로 쌓여진 독특한 형태의 파빌리온 내부는 아로마향기 가득한 평온한 분위기가 가득 넘칩니다. 독특한 재료에 독특한 분위기 조금은 쉬어가 볼까요? reviewed by SJ A whopping 200 wheat straw bales were used in a display for HEDGE at a California art and design fair last month. ‘Straw is an incredibly effective acoustic buffer,’ said architect Virginia San Fratello of Rael San Fratello Architects. ‘The experience within ..
바로크 양식의 중세성당에 새롭게 쓰여진 파빌리온은 이전시간과 현재의 시간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사용됩니다. 거리와 성당을 구분짓는 오랜된 돌담 사이로 열린 램프를 통하여 진입되는 파빌리온은 콘크리트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인도된 방문객들은 버티컬우드로 지지대되는 파빌리온 내부와 마주하게 됩니다. 이렇게 들어온 파빌리온 내부에서 우리는 그동안 잊고 지냈던 서로의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나누게 됩니다. 벽을 따라 둘러 쌓여 있는 심플한 우드벤치에 마주 앉아서... 그러면 어느샌가 클리어스토리로 비쳐 들어오는 아침햇살에 내부공간이 환해지는 것을 맛 볼 수 있을 것입니다. reviewed by SJ set within a scenery of mountain peaks in defereggen in..
유로 2012 적션 프로젝트는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개최되는 유로2012를 관람하기위해 방문하는 관중들과 경기장을 연결해주는 운송프로그램입니다. 기차에서 트랩으로 또는 버스로 연결되는 다중첩 플랫폼은 획일화된 플랫폼 캐노피를 벗어난 삼각형태의 대담한 조형성을 가진 메시브 콘크리트로 구축되었습니다. 이러한 조형성은 단순히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위한 것이 아닌 짧은 시간안에 신속하게 사람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적인 형태를 위해 조형되었습니다. reviewed by SJ polish practice OZONE architectural studio has created the 'euro 2012 junction' to efficiently transport and connect the large crowds o..
자유낙하하는 잔디인간 paris-based designer mathilde roussel has conceived an installation consisting of living grass sculptures that show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 of material as a metaphor of the growing changes of the body. made of recycled metal and fabric structures filled with soil and wheat seeds, time sculpts the forms, changing its shape through decay. the project references egyptian mythology..
피크닉 파빌리온 건축적 미니멀함과 메시브한 형태가 주는 장중함을 동시에 풍기는 외형적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텍사스 퍼블릭 파크에 자리 잡은 파빌리온은 콘트리트 큐빅 볼륨의 장중함과는 달리 내부 천장에 밝은 옐로우 컬러의 보이드 스페이스로 채워져 마치 거대한 트리 개노피를 연상시킵니다. 사실 이것은 조형적으로 대비 효과를 일으키는 심미적 뉘앙스라기 보다 파빌리온이 지향하는 패시브 디자인의 중요한 장치입니다. 상부면과 하부면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열려진 보이드 공간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자연스럽게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한 공기순환을 유도시킵니다. 그리고 다시 파빌리온 하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천장 상부로 분출 시킴으로써 공기순환을 통한 쿨링효과를 가져옵니다. 특히 여름철 장렬하는 텍사스 태양빛으로 부터 ..
이 기념비적인 설치물은 예루살렘에 위치한 이스라엘 뮤지엄을 맞이하는 입구에 함께 서 있습니다. 8미터 높이의 드라마틱한 원통형 스크린은 마치 공상과학에 등장하는 콜로세움 같이 색다른 공간과 체험을 유도합니다. 원통형 스크린에 투영되는 미디어 아트는 5600 가닥의 실리콘 로드로 이루어진 반투명 공간과 맞물리며 스타워즈에서 나오는 홀로그램 영상과 같은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경량구조의 스크린 서피스는 아트와 건축의 경계를 넘나드는 뛰어난 장치적 요소로 이스라엘 뮤지엄을 소개합니다. reviewed by SJ Dwelling Movies Illuminate Jerusalem ParkRon Arad’s monumental installation at Jerusalem’s Israel Museum is a pla..
바로셀로나에 세워진 파빌리온의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최소한의 스케일로 자생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것입니다. 직관적인 태양광 판넬의 위치는 태양의 최대한 조망을 확보하는 포지션에 위치하며 태양광 판넬을 부착하기 위한 캔틸레버 우드판넬은 또다시 파빌리온을 구축하는 건축적 어휘가 됩니다. 그리고 고슴도치처럼 외부로 뻗어 있는 삼각뿔 판넬 사이로 열린 개구부와 창문은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내부로 유도함을써 거주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는 또다른 건축어휘로 사용됩니다. 색다른 실험이 바로셀로나에서 열렸군요. 이 파빌리온에서 기타 에너지 없이 거주 할 수 있을까요? reviewed by SJ,오사 The Institute for Advanced Architecture of Catalonia designed the ..
천장을 덮고 있는 실링재는 몰의 또다른 이름 '푸드 가든'을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천장면을 뒤덮고 있는 물결은 컴퓨터 모델링을 통하여 형상의 틀을 만듭니다. 모델링은 다시 3D 형상을 구축 할 수 있도록 형상의 진행방향으로 상이한 2D 단면을 추출하는 리모델링 작업을 합니다. 이 작업을 통해 추출된 단면조각들은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스틸조각으로 천장면에 연속하여 시공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3D 볼륨은 푸드 가든의 고유한 아이텐티를 나타내는 오브제로 정의됩니다. reviewed by SJ The Digital Design Ceiling by ABWB & Associates is located on the top floor of the Pelli Clarke Pelli Architects-designed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