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접점을 연결하다. 뉴욕 스토어프론트에 설치된 핑크컬러 오브제의 지향점은 디지털 패브릭케이션의 실질적인 효용성 및 합리적인 구현 방법에 있다.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한계? 패브릭케이션의 극복은 전시장 내부를 가득 메우는 핑크 물결 속에 다양한 공간적 체험으로 사라진다. -형광물질이 첨가된 핑크컬러가 200여개의 메탈 조각에 파우더 도장된다.- 파라메트릭 디자인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은 무작위적인 형상 구현이 아닌 실질적인(무형의 기능과 유형의 형상을 만족시키는) 효용성 확보가 될때 비로서 합리적인 당위성을 갖게된다. reviewed by SJ,오사 as a union of digital and tangible processes, oslo-based artist jana winderen an..
독특한 대지의 상황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건축환경을 구축하게 만들고, 자신만의 고유한 캐릭터를 생성하게 한다. 대지는 2.5미터 폭으로 도로에 접한 길다란 선형과 그로부터 직교하며 생성된 길다란 메인 대지로 구성된다. 대지의 독특한 형상을 극복하기 위한 주거프로젝트는 먼저 도로에 면한 협소한 부분에 건축의 시작을 알리는 인트로를 구축하며 이로 부터 유입된 공간 배후에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한 특별한 거주공간을 생성한다. 이러한 인트로 볼륨은 길다란 대지를 길게 구분하는 콘크리트 월로 부터 공중에 부양하는 듯한 시퀀스를 생성, 하우스만의 고유한 캐릭터를 생성하는 인지성 확보와 내부를 보호하는 차폐성을 동시에 구현한다. 주변 건축물 속에 내부에 위치한 주거를 안내하는 게이트 역활을 수행한다.reviewed..
인구 노령화로 인한 급격한 사회구조 변화는 그들; 노인들을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 증대 요인을 가져오며 이를 위한 다양한 시설 확충 및 질 높은 의료서비스 확충을 요구하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 네핀 멘탈 헬스 센터 또한 이러한 요구에 부흥, 기존 병원시설로 부터 확충된 복합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건강한 육체는 건강한 정신에서 비롯된다는 말처럼 회복을 위한 힐링 스페이스는 치유 및 재생을 목표로 크고 작은 내부 중정과 이를 연속시키는 리니어한 병실로 구성된다. -이는 내외부의 밀착된 환경을 구축하게 된다.- 총 64개의 개별병실은 이곳에 상주하는 중증, 급성 그리고 특별한 정신치료를 위한 노인들의 의료공간으로 제공되며 하드 스틸과 글래스 커튼월의 조합으로 완성된다. 중첩된 공간이 발생시키는 시너지는 내외부..
지금이라도 당장 달려 나갈 기세인 흔들의자; 레트로 디자인의 DNA는 빈티지 자전거의 전통적인 프레임 제작방식과 클래식 자전거 부품의 일부 사용을 통해 완성된다. 유연한 스틸 프레임과 우드 그리고 진한 가죽이 매치를 이루며 클래식 디자인의 정수를 보여준다. two makers (andrew mcdonald and simon taylor) tap into traditional bicycle frame-building techniques to envision ‘the randonneur’ chair. drawing on the formal geometries of the long-distance two-wheeler after which it is named, the seating object has bee..
모바일 스페이스 구축을 위한 컨테이너 하우스 프로젝트는 가변적인 생활공간의 능동적인 대응과 경제적인 공간구축을 목표로 제안된다. 컨테이너 기본 모듈베이로 부터 공간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된다. 스튜디오 아파트를 위한 원 베드 또는 투베드 유닛, 재난지역의 긴급 피난소, 여행자들을 위한 간이 숙박 또는 모델 / 호스텔의 숙박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다. 무엇보다 능동적인 공간 형성에 대한 장점이 이번 프로젝트를 부각 시키는 장점이 아닐까 싶다.reviewed by SJ,오사 building upon their lineage of easily deployable structures made from shipping containers, the hong kong and australia based b..
새로운 캠퍼스 마스터플랜의 첫번째 실현단계로 캠퍼스 중심부에 위치한 오래된 빌딩의 리노베이션이 진행된다. 이러한 마스터플랜의 대원칙은 학생들의 막힘없는 양방향 소통공간을 목표로하며 이를 통해 실현되는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밀접한 관계생성을 목표선상에 위치시킨다. 3층, 기존 2,250sqm 공간에 추가되는 2개층 (2,200sqm)는 패션 디자인학과, 섬유디자인학과, 산업경영학과, 화학과, 컴퓨터 과학및 관리,경영과가 새롭게 조닝된다. 기존 건물에 대한 추가적인 내진설계 뿐만아니라 새롭게 추가되는 2개층을 함께 구조화하는 스틸프레임은 화이트컬러의 알루미늄 수평루버와 교차하며 스틸메쉬와 같은 독특한 파사드를 구현한다. 이는 내부의 쾌적한 거주성 확보를 위한 패시브 디자인요소인 동시에 패션디자인의 본질을 상..
도쿄 긴자에 위치한 루이비통 스토어 리뉴얼 프로젝트의 기하학적 패턴 파사드는 대지에 새겨진 장소성을 현대 도시공간 속에 투영, 고유한 캐릭터를 구축하기 위한 디자인 요소로 사용된다. 루이비통의 상징적인 패턴, 다미에 패턴은 일본전통 '에도-코모'를 재해석한 아트데코 패턴과 교묘히 합성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대지, 장소, 도시 속에 자신만의 교유한 시그니처로 각인 시킨다. 촉감적인 패턴은 태양과 반응하며 그림자를 생성하는 주간과 사이에 삽입된 LED조명으로 거대한 랜턴으로 변신하는 야간으로 시간에 따라 다른 시퀀스를 생성한다. 상공간의 숙명적 디자인 -자신의 캐릭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주위로 부터 주목받기 위함-을 위해 거추장스러운 장식을 통해 자신을 치장하는 오류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반성할 수 있는 ..
the pen is one of the most ubiquitous communication tools in human history. not long ago, people didn’t have as many methods for conveying ideas as we do now (computers, smart phones, text messaging, the internet, etc.). for centuries, the utensil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helping people visualize their thoughts and document information. in the present-day, even though we have more options an..
혐오시설에 대한 또다른 시각은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원동력으로 장소에 대한 정의를 재정립, 주변을 아우르는 거대한 이정표 구축을 위해 시작된다. 독일 건축가 Erick van Egeraat가 지향하는 건축환경은 기존 쓰레기 소각장 및 화력발전소의 네거티브한 이미지를 쇄신하는 포지티브 디자인으로 화력발전소의 거대한 불꽃을 건축적 어휘로 재구성한 픽셀 패턴 파사드로 재현한다. 먼저 레벨따라 단으로 접혀진 형상과 공장을 연상시키는 지붕형태는 주위에 위치한 산업환경 셋팅과 도시의 역사적 상징인 성당의 재해석을 연속하며 도시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디자인된다. 여기에 갈색톤의 알루미늄 판넬에 서로 다른 크기로 펀칭된 패턴은 레벨이 상승할 수록 밀도를 달리하며 상징적인 이미지를 배가시킨다. 무엇보다 기존 장소에 ..
이번 프로젝트의 독특한 시퀀스가 던지는 화두는 건축과 도시와의 관계속에 발현되는 다양한 도시적 요소들의 반영과 그것들의 합리적인 반영을 통해 구현되는 건축물의 순응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로에셀라르 시내 중심가 교통량이 많은 사거리에 위치한 입지적 특징은 이웃한 타운하우스의 빌딩 라인과는 차별화되는 되도록 장소? 공간에게 압박을 가한다. 이 즐거운 압박을 통해 생성되는 건축환경은 각기 다른 방향과 볼륨으로 적층되며 각자의 지향점을 표면화 한다. 가로환경에 집적적으로 맞다 있는 그라운드 레벨은 오피스를 지원하기 위한 컴플렉스 스페이스로 주출입구, 미팅룸, 창고, 기계실과 화장실이 배치되며, 보행자와의 밀착된 호흠을 위해 투명한 대형창으로 열린 전시공간이 전면부에 배치된다. 그위로 적층된 두개의 레벨공간은 ..